console.blog()
React Hook을 직접 구현해보자 본문
1. 문제
3주차에는 리액트 컴포넌트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집중했다. 특히 메모이제이션과 렌더링 최적화를 통해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목표였다.
주요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었다:
- 컴포넌트 재렌더링: 상태나 props가 바뀔 때마다 불필요하게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값이 실제로 변경된 경우에만 렌더링을 트리거해야 했고, 이를 최적화할 방법을 고민했다.
- 메모이제이션: 동일한 연산을 반복해서 수행하는 대신, 이전의 연산 결과를 기억해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useMemo와 useCallback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했다.
- 깊은 비교 vs 얕은 비교: 객체나 배열 같은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다룰 때, 얕은 비교만으로는 변화 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었다. deepEquals를 활용해 깊은 비교를 적용할지, 아니면 성능 상의 이유로 얕은 비교를 사용할지에 대한 균형을 맞춰야 했다.
2. 시도
이번 주에는 컴포넌트 최적화를 위해 몇 가지 중요한 방법들을 시도해 보았다.
- shallowEquals와 deepEquals 구현: 먼저 객체와 배열의 비교를 위해 얕은 비교와 깊은 비교 함수를 만들었다. shallowEquals는 주로 간단한 데이터 타입에서 사용하고, 내부 구조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엔 deepEquals를 사용해 복잡한 데이터도 정확히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 useMemo와 useCallback 활용: 상태나 props가 자주 변하지 않는 컴포넌트에서 불필요한 재계산을 피하기 위해 useMemo와 useCallback을 구현하고 적용했다. useMemo는 복잡한 연산이 들어간 부분에서 이전 결과를 기억하고, useCallback은 함수형 컴포넌트가 자주 재생성되지 않도록 해주었다.
- memo와 deepMemo 구현: 컴포넌트를 최적화하기 위해 리액트의 memo와 비슷한 기능을 구현했다. memo는 얕은 비교를 통해 props가 바뀌지 않으면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지 않도록 했고, deepMemo는 더 깊은 비교가 필요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3. 해결
1. shallowEquals와 deepEquals
// 얕은 비교
function shallowEquals(objA: unknown, objB: unknown, equals = Object.is): boolean {
if (objA === objB) {
return true
}
if (!isObject(objA) || !isObject(objB)) {
return false
}
if (Array.isArray(objA) && Array.isArray(objB)) {
return compareArrays(objA, objB, equals)
}
return compareObjects(objA, objB, equals)
}
// 깊은 비교
function deepEquals(objA, objB) {
return shallowEquals(objA, objB, deepEquals);
}
이 함수들을 통해, 상황에 따라 얕은 비교와 깊은 비교를 적절히 선택해 사용할 수 있었다. 비교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2. useMemo와 useCallback
// useMemo
function useMemo<T>(factory: () => T, deps: DependencyList) {
const ref = useRef({ deps: undefined, value: undefined });
if (!shallowEquals(ref.current.deps, deps)) {
ref.current.value = factory();
ref.current.deps = deps;
}
return ref.current.value;
}
// useCallback
function useCallback<T extends (...args: any[]) => any>(factory: T, deps: DependencyList) {
return useMemo(() => factory, deps);
}
// useDeepMemo
function useDeepMemo<T>(factory: () => T, deps: DependencyList): T {
return useMemo(factory, deps, deepEquals)
}
이 세 가지 훅(useMemo, useCallback, useDeepMemo)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었다. useMemo는 값의 재계산을, useCallback은 함수 생성을, useDeepMemo는 깊은 비교를 활용한 최적화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덕분에 불필요한 재렌더링을 방지하고,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컴포넌트에서도 성능적으로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3. memo와 deepMemo
export function memo(Component, equals = shallowEquals) {
return (newProps) => {
const previousPropsRef = useRef(null);
if (!equals(previousPropsRef.current, newProps)) {
previousPropsRef.current = newProps;
}
return createElement(Component, newProps);
};
}
export function deepMemo(Component) {
return memo(Component, deepEquals);
}
이 두 함수로 컴포넌트를 더욱 세밀하게 최적화할 수 있었다. 특히,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다루는 컴포넌트에 deepMemo를 적용함으로써 성능과 정확도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4. 알게 된 것
이번 주차 작업을 통해 컴포넌트 최적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특히, 메모이제이션을 적용했을 때 성능이 얼마나 개선되는지 체감할 수 있었다.
- 메모이제이션의 힘: useMemo와 useCallback을 적재적소에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연산을 피하고, 좀 더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만들 수 있었다. 특히 복잡한 로직이 포함된 컴포넌트에서는 성능 차이가 확연했다.
- 깊은 비교와 얕은 비교의 균형: 상황에 따라 shallowEquals와 deepEquals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리액트에서는 이런 비교 방식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모든 곳에 깊은 비교를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필요한 곳에는 확실히 적용해야 한다는 것도 깨달았다.
-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재렌더링 방지: memo와 deepMemo를 통해 props가 변하지 않는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지 않도록 최적화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고, 특히 대규모 데이터를 다룰 때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하지만 꼭 필요한 상태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는 것도 알게되었다.
특히 이번주에는 컴포넌트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렌더링 성능에 대한 개선을 이루어냈다.
최적화 전
최적화 전에는 ThemeProvider에서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 ItemList, ThemeLayout 같은 하위 컴포넌트들이 불필요하게 다시 렌더링되는 문제가 있었다. 전체 렌더링 시간이 6ms였고, 그중 ItemList가 1.5ms를 차지했다. ThemeProvider와 Context.Provider도 각각 0.5ms, 0.3ms로 적지 않은 렌더링 시간이 걸렸다
최적화 후
최적화 후에는 useCallback과 useMemo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렌더링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최적화 후 전체 렌더링 시간은 2ms로, 약 3배 가까이 성능이 개선되었다. ItemList의 렌더링 시간도 1.5ms에서 0.5ms로 줄었고, ThemeProvider의 렌더링 시간도 0.5ms에서 0.2ms로 감소했다.
성능 개선 요인
- memo, useMemo, useCallback 적용: 불필요한 재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메모이제이션 훅들을 사용했다. 그 결과, ThemeProvider나 Context.Provider의 상태 변화가 있을 때에도 하위 컴포넌트가 불필요하게 렌더링되지 않도록 만들 수 있었다.
- 전체 렌더링 시간 단축: 렌더링 시간이 6ms에서 2ms로 크게 줄어들었고, 특히 ItemList 같은 데이터가 많은 컴포넌트에서 효과가 컸다.
배운 점
이번 성능 최적화 과정을 통해, 컴포넌트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렌더링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실감했다. 최적화를 통해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고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성능을 고려한 컴포넌트 설계를 계속해서 신경 쓸 계획이다.
Keep : 현재 만족하고 계속 유지할 부분
이번 주차 작업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부분은 최적화 작업을 통해 성능을 확실히 개선한 것이다. 코드를 리팩토링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성능의 변화가 체감되었고, 이를 통해 개발자로서의 성장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컴포넌트 단위에서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는 작업과 메모이제이션을 도입한 부분에서 효율성과 유지보수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었다는 점이 만족스러웠다.
앞으로 더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이러한 최적화 기법들을 적용하고 싶고, 컴포넌트 성능을 고려하는 습관을 꾸준히 유지해보고싶다
'WIL > Hangha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과 E2E테스트 (1) | 2024.12.11 |
---|---|
FSD 패턴과 상태 관리 리팩토링 (0) | 2024.12.11 |
리액트 리팩토링: Context와 Hook을 활용한 상태 관리 개선 (1) | 2024.12.11 |
내가 리액트를 직접 만들어봤다? (1) | 2024.12.11 |
Vanilla JavaScript로 SPA 만들기 (0)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