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rontend (3)
dansoon.log()
들어가며24년은 2년 차 개발자로서 첫 이직을 성공했고, 서비스 회사에서 의미있는 성장과 서비스 기여를 할 수 있던 한 해였다.아직 부족함이 많은 주니어 개발자였지만,점차 서비스 개선에 대한 감을 익혀가며 개발자로서의 정체성과 성장에 대해 깊이 고민했던 시간이었다.새로운 환경에서의 도전과 업무 외 학습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이제 그 시간들을 돌아보며 내년을 준비하고자 한다.올해의 업무 :: 새로운 업무 환경과 낯선 코드처음 마주한 레거시 환경Vue 3, React 18과 같은 최신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다가 이직 후 받은 첫 충격은 Node.js 6 버전을 사용한다는 점이었다.ES6 이후 문법도 지원하지 않는 환경에서 생소한 PHP 코드와 순수 JavaScript로 제품을 개선해야 하는 상황이었다.서비..
들어가며프론트엔드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 효율적인 코드 구조화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기 마련이다.단순한 기능 구현을 넘어 시스템 아키텍처가 비즈니스 요구사항의 변화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지가 프로젝트의 장기적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계와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는 것이 현대 프론트엔드 개발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 상태 관리 패턴, 모듈화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하지만,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구조화 방법론이 요구된다.최근 PHP와 Vue로 작성된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을 Next.js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과정에서,우리 팀은 일관된 개발 패러다임을 확립하기 위해 Feature-Sliced Design(FSD..
들어가며최근 같이 교류하던 분들과 친한 개발자 분이 이렇게 물어봤다."이 @components 같은 거 왜 쓰는 거예요? 어떤 이유가 있죠?"솔직히 처음에는 그냥 "깔끔해 보여서" 쓰기 시작했다.하지만 수년간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 패턴이 단순한 미적 선호를 넘어 코드 품질과 개발 효율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았다.이 글에서는 모듈 별칭(alias)과 barrel 패턴의 기술적 이점, 구현 방법, 그리고 실제 대규모 프로젝트에서의 활용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1. 모듈 별칭(Alias)의 기술적 필요성1.1 상대경로의 구조적 문제점프로젝트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상대경로 방식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중첩 깊이가 깊어질수록 발생하는 가독성 문제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