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IL/Book (2)
dansoon.log()
들어가며10주 동안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이라는 책을 읽었다. 처음엔 “요즘 다시 함수형이 유행이래” 정도의 호기심이었지만, 읽을수록 개발자로서 갖춰야 할 기본기가 뭔지 생각하게 되었다.가장 좋았던 점은 단순히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써야 한다”가 아니라 어떻게 코드를 바라볼 것인가, 그 근본적인 감각을 키워준다는 데 있었다.액션? 계산? 데이터?코드를 나누기 시작하면서 생긴 변화이 책은 우리가 평소 작성하는 코드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눈다.액션: 시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코드 (API 요청, DOM 조작 등)계산: 입력이 같으면 항상 같은 결과가 나오는 순수한 코드데이터: 그냥 ‘사실’ 그 자체. 변경하지 않는 정보그리고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가능한 많은 코드를 계산이나 데이터로 끌어내는 것"..
들어가며지난 2개월 동안 '자바스크립트 + 리액트 디자인 패턴'을 읽으며 학습한 내용과 개인적인 깨달음을 공유하려 한다.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코드 구조화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들을 이해하고자 이 책을 선택했고, 기대 이상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책 소개와 주요 내용이 책은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의 설계와 구조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단순히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법을 넘어 확장 가능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인상적이었다1. 컴포넌트 패턴의 진화기존에 알고 있던 HOC(Higher-Order Components)와 Render Props 패턴부터 최신 React Hooks를 활용한 패턴까지 리액트의 발전 과정에 따른 디자인 패턴의 ..